위·대장질환
체계적 진료로 위·대장을 근본적으로 개선합니다.
일반적으로 소화불량은 소화기관에 생긴 기능 장애와 관련하여 주로 상복부 중앙에서 위장 장애 증상이 동반됩니다. 그러나 기능성소화불량은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위장 장애 증상이 나타나거나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질환 중 하나입니다. 위염이나 위궤양 등 별다른 원인 질환 없이 복통, 복부팽만감 등 다양한 위장 장애 증상이 동반되는 기능성 소화불량은 스트레스와 큰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신경성 위염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내시경이나 초음파 검사를 해도 특별한 원인이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원인 파악이 어려운 편입니다.
기능성소화불량은 위 내시경 검사에서 위염 소견이 있으나 증상 호전이 없을 때를 말합니다. 보통 스트레스나 감정적 자극으로 위가 생리적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기능성소화불량과 같은 위장 문제를 잘못된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 등으로 발생하는 담적증후군과 그 외에도 몸 전체에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위장뿐만 아니라 간장, 심장, 콩팥과 같은 장기기관들의 상호 관계로 발생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기능성소화불량은 담적증후군과 함께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치료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또 이러한 치료를 통해 위와 장 건강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체계적인 검진을 통해 담적증후군을 진단하고 환자의 체질이나 상태 등에 따라 발효한약, 소적치료, 아로마치료, 약침치료 등을 맞춤형 치료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간장의 기운 순환을 통해 위장 소화 운동, 담즙 분비를 촉진하고 위산 분비를 활발하게 합니다. 이후 심장 건강을 강화해 위장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키고 스트레스에 강한 위장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신장에서 분비되는 진액이 위장 점막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해 위장 점막을 보호하며 대장까지 따뜻하게 만들어줍니다.
기능성소화불량은 스트레스, 불안 등 정신적인 요소와 올바른 생활 습관, 식습관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마음을 여유롭고 편안하게 갖고 산책, 명상, 취미생활 등 건강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합니다. 또 소화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섭취하고 333법칙을 지켜야 합니다. 333법칙은 하루에 3번 적정량의 식사하는 것, 30번 이상 씹어 먹기, 30분 이상 식사하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