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장질환
체계적 진료로 위·대장을 근본적으로 개선합니다.
위축성위염은 전 국민의 10% 이상이 앓을 정도로 흔한 위장 질환입니다. 이는 만성 위염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로 위 표면인 점막이 매우 얇아진 상태입니다. 위내시경 검사 상 위 점막이 얇아진 것이 건강 상 어떠한 문제나 소화 기능에 문제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지만 위 점막이 얇아지는 만큼 위가 위축되고 손상이 심해져 위암 발생률이 정상인에 비해 약 2~4배 정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위 점막이 장 점막으로 변화하는 장상피화생 동반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한의학에서는 위축성위염의 원인을 심장과 신장(콩팥)의 문제로 봅니다. 심장 건강이 나빠지면 위 점막에 혈액 공급이 잘 이뤄지지 않게 되고 결국 위 점막이 위축됩니다. 또 신장(콩팥)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각종 독성 물질과 과도한 위산으로부터 위를 보호하는 진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면서 위축성위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축성위염은 이렇다 할 증상이 동반되지 않으며 위내시경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위내시경 검사로도 원인을 뚜렷하게 밝힐 수 없는 경우라면 한의학에서 위축성위염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담적증후군과 심장, 신장(콩팥) 건강 상태를 면밀하게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축성위염은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위암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어 약 1~2년 정도 주기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위축성위염을 진단받은 경우라면 위내시경 검사와 동시에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를 고려하기도 하는데요, 다만 담적증후군과 같이 한의학에서 규명하고 있는 원인으로 발병된 경우라면 환자 상태에 따라 발효한약요법, 소적치료, 아로마치료, 약침치료 등을 맞춤형으로 적용해 위장 상태를 근본적으로 건강하게 회복하는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위축성위염은 위 건강을 생각한 식단 관리를 우선시해야 합니다. 가능한 한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 섭취를 삼가야 합니다. 금주와 금연은 필수이며 아스피린과 같은 약물들이 위축성위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약물을 복용할 때에는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 후 복용해야 합니다.